엔지니어가 AI 코딩을 해야 하는 이유

거의 5년만에 코딩을 해봤다. 물론 서비스 시스템을 위한 코드 작성이 아니다. 이 시간 동안 코드에 손대지 않았다면 개발자라고 이야기하는 것도 무색하다. 사실 보기에 갑갑하다고 나서서 코드 작업했다가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다. 라이브는 살아있는 것이기 때문에 현직 개발자가 하는게 맞지. 특히나 IntelliJ를 써서 코드를 작성해본 건 꽤 오래된 것 같다. 마지막 코드 작업은 VS Code 가지고 React로 …

Continue reading ‘엔지니어가 AI 코딩을 해야 하는 이유’ »

컨트롤보다 얼라인먼트

팀을 리딩하는 건 언제나 어렵다. 특히 본인에게 직접 보고(Direct Reports)하는 사람이 늘어나는 팀 확장 시기에 어려움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 늘어난 사람 고민도 있지만, 일의 크기가 커졌기 때문이다. 모든 리더들의 고민 시점이다. 리더 생활을 이제 시작했느냐 오래 했느냐의 차이가 없다. 그냥 어렵다. 어려움은 환경에서 나오고 사람에서 나온다. 늘어난 일이 어제와 다르고, 혹은 내일 분명 달라질 것이다. 사람은 …

Continue reading ‘컨트롤보다 얼라인먼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