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Data JPA를 활용한 DAO를 바꿔보자.

부트 이전에 스프링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그래도 다른 사람이 쓰는 만큼 쓸려면 MyBatis를 써줘야했다. MyBatis를 한번이라도 써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복잡하다. 스프링 XML 설정의 복잡도에 MyBatis의 복잡도를 더하면 상당히 헬 수준으로 올라간다. 단순 목록 하나만 가져오는데 MyBatis를 쓰는건 형식주의에 빠진 불합리의 최상급이었다. 되려 JDBC를 가져다가 prepareStatement에 Bind 변수만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손쉽게 직관적일 수 있다. 글을 읽는 분들중에 Bind …

Continue reading ‘Spring Data JPA를 활용한 DAO를 바꿔보자.’ »

Amazing Lamda

Java 8에서 제대로 지원하는 stream과 람다(lamda)를 섞어서 쓰면 좋은데 람다가 코드를 어느 수준까지 줄여주는지를 한번 살펴보니 무시무시하다라는 생각이 든다. 이걸 람다를 적용해서 고치면… 기존 자바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불필요한 라인들이 딱 한줄의 return문으로 정리된다. 이걸 해석하는데 좀 시간이 필요하긴 한데, 얻을 수 있는게 참 많을 것 같다. 특히나 Interface를 활용해서 DI 기법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이 더욱 …

Continue reading ‘Amazing Lamda’ »

JUnit Parameterized Test – 반복 테스트를 하는 뻔한 방법

JUnit에서 조건값을 바꿔가면서 테스트를 해야하는 경우에 이 방법을 사용하는게 테스트 비용을 아끼는데 좋다. 예제에서는 테스트를 위한 입력으로 PrimeNumberValidationInput이라는 클래스를 사용했다. 다른 책에서 예제를 인용할 때는 보통 Object[][]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던데, 물론 간단한 수치 입력을 하는 경우에는 이 방법을 사용해도 크게 나쁘지는 않은 것 같다. 하지만 Object 변수를 사용한다는게 뭔가 테스트 코드의 품질을 떨어트리는 것만 같은 …

Continue reading ‘JUnit Parameterized Test – 반복 테스트를 하는 뻔한 방법’ »

SonarQube 이용해서 만드는 CI

CI 들어봤나? Continuous Integration의 약자이다. 해석하자면 “지속적으로 통합하라” 라는 이야기다.  뭘? 코드를.  누가 작성한 코드를?  여러분과 여러분들의 동료들이 작성한 코드를 말한다. 왜 통합을 해야할까? 이유는 간단하다. 통합을 위해서. 뭔 소리냐구? 통합을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이유는 바로 필요한 시점에 사고 터지는 걸 막기 위해서다.  누구나 익히 알고 있듯이 모든 개발은 팀 작업이다.  혼자 잘해서 되는 개발은 더 …

Continue reading ‘SonarQube 이용해서 만드는 CI’ »